2010-01-28

080916-SNOOPY.iSO 내용



윈도우.XP.한글.WiNDOWS.WiNXP.PRO.SP3.KOR.FiNAL.PLUS.080916-SNOOPY.iSO

▶ 멀티 부팅 메뉴 구성 (BCDW)
- XP 설치
- snoopy GHOST R2 (Norton Ghost 11.0.2)
- Partition Magic 8.05
- NTFS DOS
- Win98 DOS

▶ 삭제된 윈도우 구성요소
- MSN 탐색기
- ISDN 드라이버
- 모뎀 드라이버
- 스캐너 드라이버
- 프린터 드라이버
- Movie Maker
- 음성인식 지원
- 음악 샘플
- 이미지와 배경
- Fax Services
- Indexing Service
- Help and Support (도움말)
- OOBE
- 검색 도우미 (강아지)
- 윈도우 돌아보기
- 수동 설치 및 업그레이드 (CD 부팅으로만 설치 가능)
- 다중 포트 직렬 어댑터
- TABLETPC
- DOCS 폴더
- SUPPORT 폴더
- VALUEADD 폴더

▶ 핫픽스 통합
- KB892130
- KB898461

▶ 드라이버 통합
- Chipset
- VGA (ATI Catalyst 8.8 Driver Only, NVIDIA Forceware 175.19 English)
- LAN
- Sound (Realtek, VIA, C-Media, SoundMAX)
※ AHCI/RAID 드라이버는 통합하지 않았습니다.

▶ 프로그램 통합
- Windows Media Player 11
- Adobe Flash Player 9
- SPTD 1.43 (DAEMON Tools 설치를 위한 드라이버)
- 테마
- 바탕화면에 snoopy GHOST R2.exe 추가

▶ 마지막 단계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프로그램 (설치하는 동안 마우스 키보드 사용 절대 금지)
- DAEMON Tools 4.09HE
- .NET Framework 2.0
- DirectX End-User Runtimes (August 2008)
- 파이어폭스 3.0
- 한글 2005 PE
- Internet Explorer 7.0
- The KMPlayer 2.9.3.1428 + CoreAVC 1.8
- Nero 8.2.8.0 라이트
- MS OFFICE 2003 SP2 라이트
- WinRAR 3.71

▶ 시스템 파일 패치
TCP/IP Half-Open 1000으로 설정
UxTheme.dll 파일 (테마 사용을 위해)
SFC (시스템 파일 보호 기능 해지)

▶ 레지스트리 트윅 (속도 빠르게 하는 트윅들은 아닙니다)
- 인터넷 임시폴더 크기 20MB
- 익스플로러 내려받기 완료창 사용 안 함
- 익스플로러 암호 저장 여부 확인 안 함
- 익스플로러 동시 다운로드 창 10개
- 네이버를 시작 페이지로
- UTF-8 URL 보내지 않기
- 오류 보고 사용 안 함
- 로그온시 네트워크 드라이브 자동 연결 안 함
- 바탕화면에 익스플로러 아이콘 표시
- 바탕화면에 내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 표시
- 바탕화면에 내 문서 아이콘 표시
-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아이콘 표시
- Prefetch 사용 안 함
- 미리 보기 캐시 안 함
- 유휴 시간의 하드 디스크 최적화 사용 안 함
- 부팅 파일 최적화 사용 안 함
- Windows 카탈로그 바로 가기 제거
-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제거
- 새로 설치된 프로그램 강조 안 함
- 시작 메뉴에서 내 최근 문서 제거 및 사용 안 함
- 시작 메뉴 팝업 지연시간 줄이기
-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숨기기 사용 안 함
- 작업 표시줄 그룹화 사용 안 함
- 입력 도구 모음 사용 안 함
- 바탕화면 정리마법사 사용 안 함
- 메모장 자동 줄바꿈
- 보안 센터 경고 사용 안 함
- 자동 업데이트 사용 안 함
-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 최대 절전 모드 사용 안 함
- 빠른 실행 도구 모음 표시
- 마우스 우측에 메모장으로 열기 추가
- 마우스 우측에 명령 프롬프트 추가
- 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표시
- 숨김 파일과 폴더 표시
- 시스템 폴더 내용 표시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확장자 표시
- 제어판 클래식 형식으로 보기

XP PRO K SP3 MSDN 순정확인


2008년 4월 14일자 XP PRO K SP3 VOL

라벨명 : GRTMPKVOL_KO

CRC32  : FFFFFFFF

MD5    : AB40FA83BB21714D267BFB3C82110F77

SHA-1  : AA00D0E694E0D885D654241D74E9654373F222EB

ISO명  : ko_windows_xp_professional_k_with_service_pack_3_x86_cd_vl_x14-87427.iso

용량   : 665,059,328 Bytes

MD5값 보는 프로그램 : 무설치 SendToMD5_v1.1.exe 





2001년 8월 29일자 XP PRO VOL
라벨명 : WXPVOL_KO
CRC32: FFFFFFFF
MD5: AC5777D5D920B63C6B3394CE61100266
SHA-1: 33407C329A956263111E98F813206DC4EC0348BE

2004년 8월 5일자 XP PRO SP2 VOL
라벨명 : VRMPVOL_KO
CRC32: FFFFFFFF
MD5: 522F2F56E0DC5D9982B7E99CBE1C88E6
SHA-1: 96BBA1B8DDD0271B12D74CFF1575A08357EFEBEF

2006년 3월 2일자 XP PRO SP2 VOL (KB911164 패치된 버전)
라벨명 : VX2PVOL_KO
CRC32: FFFFFFFF
MD5: 1D540852A356C3238BEFEB3CC982815B
SHA-1: 35EC81CED70BD80762BCE8347C94420882C96E13

2008년 4월 14일자 XP PRO K SP3 VOL
라벨명 : GRTMPKVOL_KO
CRC32: FFFFFFFF
MD5: AB40FA83BB21714D267BFB3C82110F77
SHA-1: AA00D0E694E0D885D654241D74E9654373F222EB


수동으로 고스트 작업 하는 방법




수동으로 고스트 작업 하는 방법 아주 쉽습니다.
그림 몇 장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스용 고스트 실행하시면 위 화면처럼 나오는데 자신의 컴퓨터에서 백업이나 복구를 하려면 Local 이라는 메뉴를 선택해야겠죠. 그 아래쪽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컬이라는 메뉴에서 -> 방향키를 누르면 서브메뉴가 나오는데 Disk는 디스크 단위로 작업을 하는 것이고 Partition은 파티션 단위로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무슨소린가 하면 Disk는 그 하드안에 만약 파티션이 5개로 나눠져있다고 한다면 그 5개의 파티션 나눠진 상태조차 통째로 다른 하드로 복사하거나 이미지로 만드는 것입니다. 완벽하게 하드 1개를 클론 시키는 것이죠.
Partition은 그렇지 않습니다. 파티션을 파티션으로 복사한다든지 파티션을 이미지로 만든다든지 이미지에서 파티션에다가 복구한다든지 그런 메뉴입니다.
파티션을 나누지 않으시는 분들은 디스크 단위로 작업하시면 되고 파티션을 나눠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파티션 단위로 작업하시면 됩니다.
아래쪽 Check 메뉴는 이미지 무결성이나 디스크 검사하는 메뉴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스크 메뉴에서 오른쪽 방향키를 누르면 서브메뉴가 나오는데
To Disk는 하드 1개를 통째로 하드 1개에 복사시키는 메뉴이고
To Image는 하드 1개를 통째로 이미지파일로 만드는 메뉴입니다.
From Image는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파일로부터 하드 1개를 통째로 복구시키는 메뉴입니다.

여기서 간혹 초보자들이 실수를 하는 부분이 있는데
파티션이 나눠진 상태에서 2번째 파티션에 존재하는 백업 이미지를 가지고 복구를 할 때 파티션 단위의 작업을 했어야 했는데 바로 여기 디스크 단위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존재하는 파티션이 싹 지워지면서 D 드라이브가 날아가게 되고 고스트 백업이미지 조차 사라집니다.
당연히 파티션이 나눠진 사람들은 파티션 단위의 작업을 해야합니다.
아래쪽 파티션 단위 서브메뉴들도 여기 메뉴들과 같습니다.
To Partition, To Image, From Image의 3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디스크 단위인지 파티션 단위인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백업이든 복구든 작업을 선택하면 소스 디스크와 저장 장소를 지정하는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백업의 경우 소스는 백업하고 싶은 대상이고 복구의 경우는 소스가 이미지 파일이 되겠죠.
알아서 잘 선택하시면 됩니다.
출처 : http://snoopybox.co.kr/342

G31T-M7(v1.0) 드라이버


분   류인텔 775 지원
제품명G31T-M7 (V1.0)
ㆍ조회: 97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