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베이지의 노래(Solveig's Song) -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솔베이지의 노래는 페르퀸트 모음곡 중에 삽입된 곡으로서 곡과 함께 우리들의 귀에 아주 친숙한 곡으로 작가인 입센의 청탁으로 극음악용으로 작곡된 서정적인 노래다. 민화집에 나오는 내용을 참고로 대문호 입센이 쓴 페르귄트는 [그리그]에 의해 음악으로 꽃을 피운 셈이고, 솔베이지의 노래는그 안에 나오는 감동적인 걸작이다.
우울한 선율이 돋보이는 솔베이지의 노래를 아일랜드 출신 소프라노 메이브(Meav)의 목소리로 소개했다. 아일랜드 민요의 독특한 멜로디를 대중화시킨 그녀의 목소리는 섬세하여 듣는 사람들에게 편안하게 곡을 감상 할 수 있는 여유를 마련해 준다. 그녀의 창법은 특히 16세기 유럽 가곡을 부르는 듯한 신비로움으로 가득하며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민요에 현대적인 해석을 곁들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에 전화를 걸면 담당자를 연결할 때까지 흐르는 음악이 있다. 바로 그 유명한 솔베이지의 노래다. 북국의 청정한 우수가 서려 있는 이 노래는 아리랑이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노예들의 합창이 이탈리아를 대표하듯이,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명곡이다.
페르귄트 [Peer Gynt]
- 노르웨이의 문호 입센이 1867년에 발표한 희곡.
- 이 희곡을 토대로 하여 작곡가 그리그도 부수음악 "페르귄트"를 발표(1876년,전 24곡, 작품번호 23). 그 중에 "솔베이지의 노래"는 널리 알려져 있다.
- 같은 노르웨이의 문호 입센의 5막의 극시 《페르귄트》를 바탕으로 작곡, 1876년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에서 초연되었다. 뒤에 각각 4곡으로 이루어진 2개의 관현악 모음곡으로 편곡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제1모음곡의 제3곡 〈아니트라의 춤〉과 제2모음곡 중의 제4곡 〈솔베이지의 노래〉가 특히 유명하다.〈아니트라의 춤〉은 어머니가 죽은 뒤 아내를 버리고 여행길에 오른 페르귄트가 아랍 추장의 딸 아니트라의 춤에 넋을 잃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현악합주에 트라이앵글을 곁들여 편성, 동양적이며 관능적인 선율을 잘 살리고 있다. 〈솔베이지의 노래〉는 페르귄트를 기다리는 솔베이지의 영원한 사랑을 노래한 것으로 애수를 띤 바이올린의 선율로 해서 많은 청중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 페어는 몰락한 지주의 아들로서, 어머니의 절실한 소원에도 불구하고 집안을 재건할 생각은 하지 않고 지나친 공상에만 빠진다. 애인 솔베이지를 버리고 산속 마왕(魔王)의 딸과 결탁, 혼을 팔아 넘기고 돈과 권력을 찾아 세계여행을 떠난다. 미국과 아프리카에서는 노예상을 하여 큰돈을 벌고 추장의 딸 아니트라를 농락하며 거드름을 피우다가 여자에게 배신당하고 정신이상자로 몰려 입원을 강요당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고향이 그리워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오르지만 배가 난파하여 무일푼이 되어 고향 땅을 밟는다. 거기서 늙은 마왕으로부터 빚독촉을 받으나 최후까지 혼을 팔아 넘기지 않았기 때문에 살아 남아 지금은 백발이 된 옛날의 애인 솔베이지의 팔에 안겨 죽는다.
- 근대인의 부(富)와 권력 추구에서 오는 정신의 황폐, 인간의 과대한 야망의 덧없음을, 그리고 자기를 버리고 간 방탕한 연인을 백발이 될 때까지 가슴 속에 간직한 여인의 청순무구를 대조하여 최후의 구원을 발견케 한다. 입센의 작품 중에서는 가장 분방한 상상력을 구사한 작품으로 알려졌다. 이 희곡을 토대로 노르웨이의 작곡가 그리그는 같은 제목의 부수음악을 작곡, 1876년에 초연하였다. 뒤에 편곡하여 각 4곡으로 된 두 가지 관현악용 조곡을 만들었는데 그중에서도 제1조곡의 제3곡 <아니트라의 춤>, 제2조곡의 제4곡 <솔베이지의 노래>는 잘 알려진 곡이다.
- 노르웨이의 작곡가 그리그는 자신의 음악이 서정적이어서 극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므로 입센의 환상시극 [페르 귄트]를 작곡함에 있어서도 사실 자신이 없었다. 그러나 입센의 위촉을 받아 무대 음악으로 이 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는데, 그는 31세 때 이 곡을 쓰기 시작하여 다음해 여름에 완성하였는데 그의 명작이 되었다. 이것은 처음에 피아노 2중주의 형식으로 출판되었다가 후에 오케스트라로 편곡되었다. 이 극음악은 5곡의 전주곡을 비롯하여 행진곡, 무곡, 독창곡, 합창곡 등 모두 23곡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그리그는 후에 이 극음악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4곡을 뽑아 제1모음곡으로 하였으며, 그 후에 다시 4곡을 선정하여 제2모음곡으로 만들었다.
-극의 줄거리-
제 1 막 : 어려서 부친을 잃은 페르 귄트는 편모 슬하에서 자랐는데, 부친에게서 물려받은 게으름이 몸에 밴 데다가 허황된 꿈만 좇고 있기 때문에 모친 오제의 살림은 말이 아니었다. 그는 솔베이그라는 연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날 마을 결혼식에 나가서 다른 남자의 신부 잉그리드를 빼앗아 산속으로 달아난다.
제 2 막 : 페르 귄트는 얼마되지 않아 곧 잉그리드를 버리고 산중을 방황하다가 푸른 옷을 입은 아가씨를 만난다. 곧 뜻이 맞아서 그녀 부친 있는데로 간다. 그곳은 산에서 사는 마왕의 궁전인데, 그녀는 그 마왕의 딸이었다. 마왕이 페르 귄트에게 그의 딸과의 결혼을 강요하므로 그는 깜짝 놀라서 그곳을 빠져나오려 한다. 마왕은 화가나서 부하인 요괴를 시켜서 그를 죽이려 들지만, 그때 마침 아침을 알리는 교회의 종소리가 들리고 마왕의 궁전은 순식간에 무너져, 페르 귄트는 간신히 살아 남는다.
제 3 막 : 산에서 돌아 온 페르 귄트는 잠깐 솔베이그와 같이 산다. 어느날 모친 생각이 나서 어머니가 살고 있는 오두막으로 돌아온다. 모친은 중병으로 신음하다가, 아들의 얼굴을 보고 안심이 되었는지 페르 귄트의 곁에서 운명하고 만다. 모친을 잃은 페르 귄트는 다시 모험을 찾아 해외로 나간다.
제 4 막 : 각지를 돌아다니는 동안에 큰 부자가 된 페르 귄트는 어느날 아침 일찍 모로코의 해안에 닿는다. 그러나 사기꾼에게 걸려서 다시 빈털털이가 된다. 그러자 이번에는 예언자 행세를 하여 순식간에 거부가 되어 아라비아로 들어간다. 거기서 베드윈족 추장의 주연에 초대된다. 아라비아 아가씨들과 추장의 딸 아니트라의 관능적인 춤으로 대접받은 페르 귄트는 아니트라의 미모에 빠져 또다시 전재산을 탕진하고 만다.
제 5 막 : 그 뒤 페르 귄트의 생활은 여전히 파란만장. 마지막에는 신대륙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에서 금광으로 큰 부자가 된다. 이제 늙어버린 페르 귄트는 고국의 산천이 그리워서 그 동안에 번 제물을 싣고 귀국길에 오른다. 그러나 노르웨이의 육지를 눈앞에 두고 풍파를 만나 그의 배는 재물을 실은채로 물에 갈아앉아 버린다. 다시 무일푼이 된 페르 귄트는 거지나 다름없는 꼴로 산중 오두막에 다다른다. 그곳에는 이미 백발이 된 솔베이그가 페르 귄트를 기다리고 있다. 페르 귄트는 그녀를 껴안고 <그대의 사랑이 나를 구해주었다>고 하면서 그 자리에 쓰러진다. 늙고 인생에 지친 페르 귄트는 이윽고 솔베이그의 무릎을 베고, 그녀가 노래하는 상냥한 자장가를 들으면서 그 파란만장한 인생을 마감한다.
제2모음곡 제4곡 솔베이지의 노래(Solveig's Song) : Un poco Andante a단조 4/4박자
너무나 유명한 이 멜로디는 이 극에서 세 번 나타난다. 그 중에서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것은 제3막에서 뿐이고, 제4, 제5막에서는 소프라노의 독창이 나타난다.
꿈을 그리면서 헤메이던 몽상가 페르 귄트는 기쁨과 슬픔이 얽힌 오랜 여정을 마치고 지친 늙은 몸으로 고향의 오막살이로 돌아오게 된다. 백발이 된 솔베이그의 무릎에 엎드려 그녀의 노래를 들으며 평화스런 죽음을 맞게 되는 것이다.
"그 겨울이 지나 또 봄은 가고 또 봄은 가고, 그 여름날이 가면 더 세월이 간다 세월이 간다. 아! 그러나 그대는 내 님일세 내 님일세. 내 정성을 다하여 늘 고대하노라 늘 고대하노라.
아! 그 풍성한 복을 참 많이 받고 참 많이 받고, 오! 우리 하느님 늘 보호하소서 늘 보호하소서. 쓸쓸하게 홀로 늘 고대함 그 몇 해인가. 아! 나는 그리워라 널 찾아 가노라 널 찾아 가노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