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러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자
윈도우즈 XP는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는 재주가 있다. 파일 형식이 서로 달라도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이름을 바꿀 파일을 모두 고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고른다.
윈도우즈 XP에서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바꿀 때는 첫 번째 파일에 이름만 쓴다. 예를 들어 ‘PC사랑’이라고 하면 첫 번째 파일은 ‘PC사랑’이 되고 나머지 파일들은 ‘PC사랑 (1)’ ‘PC사랑 (2)’ 등으로 바뀐다. 만약 첫 번째 파일 이름을 ‘PC사랑 (10)’이라고 하면 그 다음부터는 ‘PC사랑 (11)’ ‘PC사랑 (12)’이 된다.
새 이름을 쓰고 엔터 키를 누른 다음 이름을 바꾼 파일 다음에 있는 것들은 새 이름 뒤에 1부터 숫자가 붙는다.
2. 갑자기 재 부팅 되는 윈도우즈 XP 때려잡기
윈도우즈 XP는 너무 민감한(?) 나머지 프로그램에 조그만 오류가 생기면 저절로 재 부팅 된다. 물론 그 오류가 심각할 때도 있지만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데도 PC를 재 부팅해서 이용자를 귀찮게 한다.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어도 시스템이 재 부팅 되지 않게 해보자.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서 ‘시작 및 복구’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오류’ 칸에 있는 ‘자동으로 다시 시작’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제 윈도우즈 XP가 제멋대로 꺼지지 않는다.
3. 오류 보고 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윈도우즈 XP부터는 프로그램들이 에러를 일으켰을 때 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마이크로소프트사로 보고한다. 이런 오류를 매번 보고하는 것도 지겹고, 보고해도 해결되지 않으므로 오류 보고 창이 뜨지 않게 해보자.
시작 → 제어판 → 성능 및 유지 관리 → 시스템으로 간 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뜨면 ‘고급’ 탭에서 아래에 있는 ‘오류 보고’ 단추를 누른다. 오류 보고 대화 상자에서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4. 성인광고 나가 있어~
성인광고 사이트도 아닌데 자꾸 성인광고가 뜬다. 한두 개 정도야 바로 닫아버리면 그만이지만 여러 개의 창이 마구 쏟아져 나오면 윈도우즈 XP가 먹통이 되기도 한다. 성인광고를 막아주는 프로그램이 있지만, 괜히 하드디스크 용량만 차지하므로 윈도우즈 XP 자체에서 해결하자.
인터넷 익스플로러 메뉴에서 도구 → 인터넷 옵션을 고른 다음 ‘일반’ 탭의 임시 인터넷 파일 항목에 있는 ‘설정’ 단추를 누른다. ‘설정’ 창이 뜨면 ‘개체보기’를 누른다.
탐색기가 뜨면서 파일 이름이 나온다. 이 중에서 sender control이라는 파일을 찾아서 지우면 성인광고 사이트가 뜨지 않는다.
‘개체보기’를 누르면 내 PC에 깔려있는 개체들이 보인다.
5. 내 컴퓨터에서 ‘공유 문서’ 없애기
윈도우즈 XP에는 여러 이용자가 같이 쓸 수 있는 공유 문서가 있다. 공유 문서에는 공유 그림, 공유 음악이 있는데 집에서 혼자 쓰는 사람에게는 필요 없다. 용량만 차지하는 공유 문서를 지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운 다음,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yComputer\NameSpace\DelegateFolders에 있는
{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를 찾아 지운다.
이 레지스트리를 지우면 공유 문서가 보이지 않는다.
6. ‘시작’에서 문서메뉴 지우기
문서 메뉴가 있으면 작업 했던 문서를 쉽게 불러올 수 있지만, 길게 늘어져 있어 지저분하다. 문서 메뉴를 잘 쓰지 않는다면 깔끔하게 지우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오른쪽에 마우스를 놓고 새로 만들기 → DWORD 값을 고른 뒤,
‘새 값’의 이름을 NoRecentDocsMenu 라고 바꾼 뒤 마우스로 두 번 눌러 값 ‘1’을 넣는다.
문서 메뉴가 없어졌다. 메뉴가 한결 깔끔해 보인다.
7.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불러오기
윈도우즈 XP를 깔고 나면 바탕화면에 휴지통만 보인다. 윈도우즈 98처럼 바탕화면에 기본 아이콘이 보이게 하려면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뒤 → 속성 → 바탕화면 → 바탕화면 사용자지정을 차례로 누르고 ‘내 바탕화면에 아이콘’에서 골라 누르면 된다.
8. 휴지통을 변기통으로 바꾸자
다른 아이콘들은 이름을 바꿀 수 있지만, 휴지통은 ‘이름 바꾸기’가 없다. 하지만 PC사랑 사전에 불가능이 있던가? 휴지통 변기통으로 변신시키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의 오른쪽 창에 있는 attribute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서 40 01 00 20 대신 70 01 00 20을 집어넣는다. CallForAttributes=dword:00000040 의 값만 지우자.
재 부팅하고 휴지통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이름 바꾸기’가 생긴다.
9. 입력 도구 모음 없애기
윈도우즈 XP ‘서비스 팩이 깔려 있다면 입력 도구 모음을 간단히 닫을 수 있지만 서비스 팩이 없다면 이것을 지울 수 없다. 입력 도구 모음은 한자를 입력할 때 편하지만 게임을 자주 하는 이들에겐 눈에 거슬릴 뿐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는다. 입력 도구를 쓰지 않는다면 이 방법으로 입력도구를 날려버리자.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 자세히 → 설치된 서비스에서 ‘추가’를 눌러 영어를 새로 넣는다. 그 다음 한글 입력기(IME2002)를 고르고 기본 설정 → 입력 도구모음에서 모든 체크를 끄면 도구가 사라진다.
10. 로그 온 할 때 예쁜 메시지 띄우기
회사, 학교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를 켜면 ‘로그온’ 화면이 뜬다. 이 곳에 톡톡 튀는 예쁜 메시지를 넣어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NT\CurrentVersion\Winlogon을 찾는다.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뜨는 ‘새로 만들기’ 메뉴에서 ‘문자열 값’을 고른 뒤, 문자열 이름을 LegalNoticeText 라고 써 넣고 엔터 키를 누른다. 이미 있는 파일이라면 새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
앞에서 만들어 놓은 문자열을 마우스로 두 번 누르면 ‘문자열 편집’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값 데이터’ 상자에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써 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같은 방법으로 LegalNoticeCaption 이라는 문자열 값을 만들고 ‘값 데이터’에 메시지 상자의 제목을 적은 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PC를 껐다 켜면 메시지 상자가 표시된다.
11. URL 입력은 단축 키로 간단히!
PC사랑 홈페이지에서 지난달 기사를 찾아보고 싶을 때 주소 창에 www.ilovepc.co.kr을 모두 적지 않아도 된다. ilovepc만 쓰고 Ctrl+Enter 키를 누르면 http://www와 co.kr이 저절로 써진다.
.com로 끝나는지, co.kr이나 net으로 끝나는지 기억나지 않을 때 활용하면 편하다.
12. ‘드라이버가 맞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떠요!
윈도우즈 XP의 기본 드라이버를 쓰다가 부품 회사에서 만든 드라이버를 깔려고 하는데 ‘호환성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했다’는 메시지가 종종 뜬다. MS가 테스트하지 않아 성능을 믿을 수 없다는 내용이다. 많은 드라이버가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지만 쓰는 데는 이상이 없다. 그렇다면 이 메시지를 굳이 띄울 필요가 없다.
‘내 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하드웨어’ 탭에서 ‘드라이버 서명’을 누른다. 여기서 ‘무시’를 고르면 다시는 호환성 메시지가 뜨지 않는다.
‘무시’를 고르면 드라이버를 깔 때 호환성 여부를 묻지 않는다.
13. 시스템 복원이 컴퓨터를 느려지게 한다?
‘시스템 복원’은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 시스템 내용을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다. 오류가 발생하면 사고가 나기 전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다. 파일을 읽고, 쓰고, 지울 때마다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에 시스템 복원용 백업 파일이 저장된다. 이 때문에 PC 속도가 느려지는데, ‘시스템 복원’을 끄면 속도가 한결 빨라진다.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열리면 ‘시스템 복원’ 탭을 누른 다음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시스템 복원을 끄면 PC가 한결 빨라진다.
14. 하드가 이유 없이 데이터를 읽을 때는?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는데 드르륵~ 거리며 하드디스크를 읽는 소리가 난다. 본체의 HDD LED도 깜박인다. 왜 아무런 명령을 내리지 않은 하드디스크가 작동을 할까? ‘인덱싱 서비스’ 때문일지 모르므로 이 명령을 끈다. 인덱싱 서비스는 하드에 있는 파일을 정리해 빨리 뜨게 해주지만 명령을 꺼도 PC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 indexing service → 속성 → 사용안함을 누른 뒤 재 부팅하면 하드가 잠잠해진다.
15. 바탕화면 단축 아이콘에서 화살표를 지우자
프로그램 파일과 단축 아이콘을 구분하기 위해 단축 아이콘에는 ‘화살표’가 붙어 있다. 알아보긴 쉽지만, 왠지 지저분해 보인다. 화살표를 지우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LASSES_ROOT\lnkfile를 고른 뒤 오른쪽 창에서 → isshortcut를 지우면 된다.
화살표가 없어 아이콘이 깔끔하게 보인다.
16. 폴더 창을 재 빨리 연다.
탐색기에서 폴더를 이동하다보면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을 읽어 들이는 속도가 느리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을 때가 많다. 느린 속도 때문에 답답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해보자.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폴더옵션을 차례로 고른다.
‘보기’ 탭의 ‘고급설정’ 칸에서 ‘폴더 및 바탕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 창 실행’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 ‘폴더 팁에 파일 크기 정보 표시’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이렇게 해두면 폴더 창이 조금 더 빨리 열린다.
17. 윈도우즈 XP에서 도스 게임 하기
윈도우즈 XP는 32비트 운영체제여서 16비트 도스 게임을 누르면 실행이 되지 않고 창이 꺼져 버린다. 도스 게임을 하고 싶다면 VDM(virtual DOS machine)이란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 깐다. exe 실행파일을 골라 오른쪽 마우스 단추로 메뉴를 부른 뒤 run with VDMS를 누르면 된다. VDM은 PC사랑 홈페이지 ‘프로그램 타입 캡슐’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윈도우즈 XP에서 추억이 담긴 게임을 즐겨보자.
18. 메신저로 파일을 받을 수 없다고?
윈도우즈 XP는 인터넷 연결 방화벽 설정 부분이 있어서 외부에서 내 PC로 접속하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을 쓸 때는 이 방화벽 때문에 서로 자료를 주고받지 못한다. MSN 메신저를 비롯해 메신저가 P2P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주고받을 때 방화벽이 가로막으면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의 ‘속성’을 연 다음 ‘로컬 영역 연결’을 한번 누른다.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속성’을 연 뒤 고급 →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끈다.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끄면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을 문제없이 쓸 수 있다.
19. 윈도우즈 XP에서 디스크 검사를 하자
윈도우즈는 문제가 있을 때 ‘디스크 검사’를 해 오류를 고친다. 하지만 윈도우즈 XP는 윈도우즈 98과 달리 ‘디스크 검사’ 메뉴가 따로 없다. 보조프로그램에 등록 되어 있지도 않다. 그렇다고 디스크 검사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내 컴퓨터 → 로컬 디스크(c:)를 오른쪽 마우스로 메뉴를 불러 ‘속성’을 누른다.
‘도구’ 탭에 가면 ‘디스크 검사’가 있다. 모든 창과 프로그램을 다 끄고 검사하도록 한다.
윈도우즈 98보다 메뉴가 간단하고 검사가 빠르다.
20.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 지우기
안 쓰는 프로그램을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지우지 않고 탐색기로 폴더만 지우면 프로그램 목록에 남는다. 이것이 쌓이고 쌓이면 프로그램 설치가 안 되고, 윈도우즈까지 느려진다. 흔적이 남지 않게 깔끔하게 지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에 들어가 지울 프로그램을 골라 지우면 된다.
21. 시스템 종료 창 바꾸기
여러 이용자가 하나의 PC를 쓸 때 시스템을 켜면 시작 화면이 뜬다. 여기에는 각 이용자가 등록되어있고 누가 어떤 프로그램을 쓰는지 간단히 나와 있다. 내가 무엇을 할지 다른 사람이 보는 게 싫다면 윈도우즈 98처럼 이름만 보이므로 보안이 더 낫다. 윈도우즈 98처럼 바꿔보자.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사용자 계정을 고른 다음 ‘사용자 로그온 또는 로그오프 방법변경’을 누른다.
‘새로운 시작 화면 사용’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옵션 적용’ 버튼을 누르면 로그 창이 고전적인 형태로 바뀐다.
‘새로운 시작 화면 적용’을 누르면 윈도우 98처럼 시스템 종료 창이 바뀐다.
22. 꼭꼭 숨겨진 윈도우즈 XP 관리 프로그램들
윈도우즈 XP의 시작 버튼 → 실행을 누르면 ‘실행’ 창이 열린다. 여기에 명령을 써넣으면 작업이 바로 실행된다. ‘실행’ 창에 쓸 수 있는 명령어와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compmgmt.msc 컴퓨터 관리와 관련 시스템 도구 창을 연다.
diskmgmt.msc 디스크 관리 창을 띄운다.
eventvwr.msc 윈도우즈 메시지가 담긴 이벤트를 본다.
gpedit.msc 도메인 또는 액티브 디렉토리나 PC에 저장되어 있는 조직 단위에 연결된 그룹 정책 개체를 편집하는 ‘로컬 컴퓨터 정책’을 연다.
perfmon.msc 시스템 성능을 감시하고 로그와 경고를 기록한다.
secpol.msc ‘로컬 보안설정’을 열어 도메인의 PC 보안 정책을 정의하게 도와준다.
devmgmt.msc 하드웨어 장치 목록을 보고 각 장치에 대한 특성을 정하는 ‘장치관리자’ 창을 연다.
dfrg.msc ‘디스크 조각모음’ 창을 연다.
fsmgmt.msc 공유 폴더를 띄운다.
lusrmgr.msc 로컬 이용자를 확인한다.
rsop.msc ‘정책의 결과 집합’ 창을 연다.
services.msc ‘서비스’ 창을 띄운다.
23. 메뉴를 빨리 빨리
제원이 낮은 PC를 쓰고 있다면 창이 뜰 때 나타나는 갖가지 효과를 없애 창을 빨리 띄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desktop에서 MenuShowDelay을 살펴보면 400 으로 되어있다. 이 값을 0으로 고쳐주면 된다.
0으로 바꾸면 메뉴가 빨리 뜬다.
24. 하드디스크 파티션 하기
윈도우즈 98에서는 ‘fdisk’라는 프로그램으로 하드디스크를 나눠 썼다. 윈도우즈 XP는 이 fdisk프로그램이 없어진 대신 파티션을 쉽게 할 수 있는 메뉴가 생겼다.
시작 → 설정 →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면 하드디스크의 갖가지 정보가 뜬다. 파티션 하려는 하드디스크에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메뉴를 불러온다. 파티션 뿐 아니라 하드디스크를 매만질 수 있는 갖가지 메뉴가 있다.
윈도우즈 XP는 복잡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간단히 끝낸다.
25. 내 PC 시각이 맞지 않을 때
작업 표시 줄 오른쪽에 있는 시계를 1분 1초도 틀리지 않게 맞춰보자. 먼저 작업 표시 줄의 시계를 누르고 ‘인터넷 시간’이란 탭을 누른다. ‘인터넷 시간 서버와 자동으로 동기화’를 체크하고 ‘지금 업데이트’를 누르면 된다.
인터넷 서버에 있는 정확한 시계와 연결되어 제대로 된 시간을 보여준다.
26. 회사 이름과 이용자 이름 바꾸기
윈도우즈 XP를 처음 깔 때 넣었던 회사 이름과 이용자 이름을 바꾸고 싶다면, 레지스트리를 매만지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에 들어가면 RegisteredOrganization과 RegisteredOwner라는 값이 있다.
RegisteredOrganization은 회사 이름, RegisteredOwner는 사용자 이름이다.
입맛에 맞게 바꾼 뒤 재 부팅하면 바뀐다.
27. CD롬 자동 삽입 통지 막기
윈도우즈 XP는 윈도우즈 98처럼 ‘자동 삽입 통지’ 메뉴가 없다. CD롬을 넣으면 CD롬 내용이 알아서 뜨는데, 이 기능이 귀찮다면 레지스트리를 만져 끄면 된다.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 키를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001\Services\Cdrom에서 Autorun값을 `0`으로 하면 CD를 넣어도 CD가 자동 실행되지 않는다.
28. 인터넷 화면이 제대로 안보일 때
인터넷 게임을 하려고 하는데 화면이 제대로 뜨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까? 인터넷을 띄우면 그 사이트에 맞는 개체가 깔리는데, 이 개체가 제대로 깔리지 않을 때 이런 일이 일어난다.
제어판 → 인터넷 옵션 → 일반 탭에서 임시 인터넷 파일의 ‘설정’ 메뉴를 찾는다.
‘개체 보기’를 누르면 내 PC에 깔려 있는 갖가지 개체들이 보인다. <Ctrl + A> 키를 눌러 ‘전체 선택’을 한 뒤 Del 키를 눌러 지운다. ‘예’를 누르면 말끔히 지워진다. 다시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가면 개체가 깔리기 전에 ‘예’ ‘아니오’라는 창이 뜬다. ‘예’를 누르면 개체가 바로 깔려 인터넷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있다.
'예‘를 눌러야 화면을 띄우는 데 필요한 개체가 깔린다.
29. ‘도움말 및 지원’ 메뉴 지우기
윈도우즈를 쓰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도움말’을 보지만 사실 별 도움이 되진 않는다. 차라리 이것을 없애면 프로그램이 띄울 때 조금 더 빨리 뜬다.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에 간 뒤 ‘새로 만들기’ 에서 DWORD값을 만든다.
이름을 NoSMHelp으로 하자. 마우스를 두 번 눌러 데이터 값을 불러와 ‘1’이라고 넣자. 재 부팅 하면 ‘도움말 및 지원’ 메뉴가 뜨지 않는다.
30. 쓰지 않는 MSN 익스플로러 지우기
윈도우즈 XP를 처음 깔면 MSN 익스플로러가 깔려 있다. MSN 익스플로러는 MSN과 핫메일을 쓰는 사람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이지만 쓰지 않는다면 이 프로그램을 지워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이자.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MSN Explorer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댄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른다. 등록정보 창이 뜨면 ‘대상 찾기’를 누른다.
Setup 폴더를 열어 보면 msnunin이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것이 MSN Explorer을 지우는 프로그램이다. 마우스로 두 번 눌러 시작 메뉴에 있는 내 PC에서 MSN 익스플로러를 지운다.
꼭꼭 숨어 있는 이 파일을 누르면 MSN 익스플로러가 지워진다.
31. 종료 로고만 뜨고 전원이 안 꺼질 때
‘시스템 종료’를 누르면 ‘이제 시스템 전원을 끄셔도 됩니다’라는 창만 뜨고 꺼지지 않는 일이 있다. 이럴 때 제어판 → 전원 옵션 → APM 탭으로 들어가 ‘최대 절전 모드 사용’을 체크하면 된다.
32. CD를 굽고 있는 도중 PC가 먹통이 될 때
주로 4배속 아래의 낡은 CD-RW 드라이브에서 이런 일이 생긴다.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탭의 ‘장치 관리자’로 들어간다.
IDE ATA, ATAPI 컨트롤러를 눌러 광학 드라이브가 꽂힌 보조 IDE 채널을 두 번 누른다. 전송모드가 DMA로 되어 있다면 PIO로 바꾼 뒤 적용을 누른다.
PIO 모드로 바꾸면 오래된 CD-RW라도 CD를 척척 구워낸다.
33. 640 × 480 해상도로 띄우기
윈도우즈 XP 제어판 → 디스플레이 등록정보를 보면 800 × 600이 가장 낮은 해상도로 되어 있지만, 640×480 해상도를 불러 올 수 있다.
제어판 → 디스플레이 → 설정의 ‘고급’ 단추를 누른다.
‘어댑터’ 탭에 들어가면 아래에 ‘모든 모드 표시’라고 되어있다. 이곳을 누르면 640×480 해상도에 256 컬러로 바꿀 수 있다.
256 컬러가 아니면 뜨지 않는 고전 게임을 즐길 때 좋다.
34. 바탕 화면 보기 아이콘 만들기
바탕화면 보기 아이콘은 모든 창을 최소화 시킬 때 편하다. 이 아이콘을 실수로 지웠다면 당황하지 말고 새로 만들어보자. 시작 → 보조프로그램 →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쳐 넣는다.
[Shell]
Command = 2
IconFile=explorer.exe,3
[Taskbar]
Command=ToggleDesktop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고른 뒤 ‘바탕화면보기.scf'라고 저장하면 끝난다.
저장한 파일은 작업 표시 줄의 ‘빠른 실행’ 안에 끌어다 놓자.
35. 메신저 광고 메시지는 이제 그만!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았는데도 MSN 메신저를 통해 스팸 쪽지가 계속 날아온다. 이것은 사실 MSN 메신저와 아무 상관이 없다. 메시지를 보내는 이들은 무작위로 IP 주소를 뽑아 윈도우즈 NT 계열의 기본 서비스인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해 광고성 쪽지를 보내는 것이다. 이 쪽지를 받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 Messenger에서 시작 유형을 ‘시작 안함’으로, 서비스 상태를 ‘중지’로 하면 된다.
이제 지긋지긋한 스팸 메시지가 오지 않는다.
36. 윈도우즈 포맷하기 전, 즐겨찾기 백업은 필수
윈도우즈를 포맷하고 다시 깔고 나서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즐겨찾기 사이트를 일일이 다시 등록하는 일도 장난이 아니다. 하지만 즐겨찾기가 저장되는 디렉터리만 알고 있으면 이런 노가다(?)를 하지 않아도 된다.
윈도우즈를 포맷하기 전에 c:\doc-uments and settings\이용자 이름\favorites를 통째로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 놓자. 윈도우즈를 다시 깐 뒤 같은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인터넷의 즐겨찾기를 열면 고스란히 사이트가 들어있다. 하지만 전에 저장했던 순서까지 그대로 열리는 것은 아니므로 약간 손봐야 한다.
37. 하위 폴더를 재 빨리 연다
하위 폴더를 열려면 현재 폴더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르거나 그 옆에 있는 +를 고른다. 따라서 디렉토리가 여러 단계로 되어 있으면 필요한 것을 열기위해 이일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한다. 하지만 맨 아래에 있는 것을 단 한번에 여는 방법이 있다.
작업하려는 폴더를 고른 뒤 숫자 키보드에 있는 * 키를 함께 누르면 아래에 있는 모든 폴더가 열린다.
38. 지운 파일 되살리기
탐색기나 내 컴퓨터에서 실수로 중요한 파일을 지우기 십상이다. 하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구 모음에 있는 ‘실행 취소’ 버튼을 누르면 사라졌던 것이 다시 나타나기 때문이다. 단축 키는 <Ctrl + Z>다.
TR>
‘실행취소’ 버튼을 누르면 방금 전 내린 명령이 무효가 된다.
39. 파일 이름이 안 바뀌네?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파일 이름이 안 바뀔 때가 있다. 이럴 때 재 부팅하지 않고 이름을 바꾸는 법을 살짝 공개한다. 파일을 고른 뒤 오른 쪽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른다. 이 곳에서 이름을 바꿔보자 안 바뀌던 파일 이름이 손쉽게 바뀐다.
파일 복사 중이면 이 방법을 써도 바뀌지 않는다.
40. 내가 원하는 시각에 PC 끄기
시작 → 실행에서 ‘tsshutdn 시간(초)’을 넣자.
PC를 1분 뒤에 끌 거라면 tsshutdn 60, 1시간 뒤에 끌 거라면 tsshutdn 3600이라고 넣으면 된다. 시간이 되면 바로 종료 되는 것이 아니라 만약을 위해 30초를 더 센다.
취소하려면 꺼지기 전에 <Ctrl +C> 키를 누르면 된다.
41. 한글 자판 먹통 됐을 때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갑자기 한글 자판이 안 먹힐 때가 있다. 이럴 때 PC를 재 부팅 하지 말고 간단하게 해결하자.
대부분 왼쪽 Alt를 한번 누른 뒤 한/영 키를 누르면 한글로 바뀐다. 이 방법이 안 되면 왼쪽 <Shift + Alt> 키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한/영 키를 누르면 된다.
42. 윈도우즈 XP의 숨겨진 복사 재주
파일을 복사할 때 같은 파일이 있으면 겹쳐 쓸 것인지 물어보는 창이 뜬다. 모두 겹쳐 쓸 때 ‘모두 예’라는 항목은 편하지만, 겹쳐 쓰지 않고 이어서 복사하려면 ‘아니오’를 일일이 눌러야 된다. 이럴 때 중복된 것만 빼고 복사하는 ‘모두 아니오’가 있으면 얼마나 편할까? 윈도우즈 XP는 이런 재주가 숨겨져 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아니오’를 눌러보자. 똑같은 파일은 건너뛰고 복사 되지 않은 파일만 복사된다.
많은 파일을 복사할 때 편하다.
43.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름 바꾸기
인터넷 창 타이틀 맨 윗부분을 보면 Microsoft Internet Explorer란 꼬리표가 달려있다. 이 꼬리표 이름을 내맘대로 바꿔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를 찾은 뒤 편집 → 새로 만들기 한 뒤 Window Title 이라고 써 넣는다. 만들었다면 왼쪽 마우스 단추를 두 번 눌러 이름을 써 넣는다. PC를 재 부팅하면 이름이 바뀐다.
인터넷 창 위에 있던 Microsoft Internet Explorer란 글자를 내 맘대로 바꾸었다.
44. 시작 페이지 고정하기
인터넷을 하다 보면 성인사이트가 첫 페이지로 뜨는 일이 종종 있다. 인터넷 옵션에서 홈페이지를 바꿔도 계속 뜨는 사이트가 정말 짜증난다. 레지스트리를 매만져 이런 문제를 말끔히 털어버리자.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 키를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으로 가서 둘 다 Start_Page 의 값을 처음에 띄우려는 페이지 주소로 바꾼다.
그 다음 왼쪽 창 Main 에서 오른쪽 클릭 ‘사용 권한’ 고른 뒤 쓰고 있는 계정을 고른 다음 밑에 고급 → 편집을 누른다. 값 설정에서 ‘거부’에 체크 하면 끝난다.
이 곳에서 사이트 이름을 바꾼다.
45. MSN 메신저 6의 숨겨진 이모티콘들
MSN 메신저에는 재미있는 이모티콘이 들어 있다.
메신저를 띄운 뒤 이 단어들을 채팅창에서 쳐 넣으면 재미있는 이모티콘이 뜬다.
(st) = 비
(%) = 수갑
(pl) = 접시
(ci) = 담배
(li) = 번개
(tu) = 거북이
(xx) = 엑스박스
(yn) = 검지와 중지
46. 윈도우즈의 보기 설정을 한결같이
파일 목록을 특정한 방식, 예를 들어 ‘큰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자세한 정보’와 함께 표시할 때, 모든 폴더의 보기 옵션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루 적용할 수가 있다.
윈도우즈 탐색기의 ‘도구’ 메뉴에서 ‘폴더 옵션’을 고른다.
‘보기’ 탭의 ‘폴더 보기’ 칸에서 ‘모든 폴더에 적용’ 버튼을 누른 다음 ‘폴더 보기’ 창이 열리고 모든 폴더에 적용할 것인지 물으면 ‘예’ 버튼을 누른다.
다른 폴더에서도 보기 옵션을 일일이 정하지 않아도 된다.
47. 드라이브 순서 바꾸기
윈도우즈 98 제어판에서 바꿀 수 있던 ‘드라이브 순서’가 윈도우즈 XP에는 없다. 하지만 꼭꼭 숨겨져 있을 뿐 바꾸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시작 → 실행 → diskmgmt.msc를 치면 ‘디스크 관리’가 뜬다. 바꿀 드라이브를 누르고 오른쪽 단추로 메뉴를 불러온 다음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을 누르면 된다. 가상 드라이브와 CD롬이 뒤죽박죽일 때 이 곳에서 순서를 바꿔 정리할 수 있다.
운영체제가 깔린 드라이브는 바꿀 수 없다.
TR>
48.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 지우기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는 영화를 보기에 좋지만, 실시간 방송이 뜨지 않는 일이 종종 있다. 이것은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가 실시간 서비스인 VOD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해서다.
이런 이유로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를 지우고 종전 버전으로 돌리려면 시작 → 실행 → RunDll32 advpack.dll,LaunchINFSection %SystemRoot%INFwmp.inf,Uninstall 이라고 치면 된다.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를 깔기 전으로 돌릴 수 있다.
49. 누가 내 PC 만졌어!
내 PC가 언제 켜졌는지 남이 내 PC를 만졌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의 메모장에서 다음과 같이 써 넣자.
@echo off
echo Windows 부팅 >>c:list.txt
echo %date% %time% >>c:list.txt
echo. >>c:list.txt
파일 이름을 list.bat라고 저장한 뒤 저장한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에 놓는다.
c 드라이브에 들어가 list.tct 파일을 보면 PC를 켠 흔적이 남아있다.
50. 깔지마! 깔지 말란 말야!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바탕 화면에 깔리는 아이콘을 일일이 지우는 것도 지겹다. 웹 사이트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깔지 못하게 해보자.
제어판 → 인터넷 옵션 → 보안에서 ‘웹 컨텐트 영역’을 ‘인터넷’으로 고른다.
‘사용자 지정 수준’을 누른다. ‘바탕 화면 항목 설치’를 찾아 ‘설치 안함’을 고르면 된다.
이제 바탕화면에 웹 사이트 아이콘이 깔리지 않는다.
51. 머리글과 바닥글 없애기
인터넷 화면을 문서로 뽑으려면 파일 메뉴의 ‘인쇄’를 누르면 된다. 하지만 프린터에 http://www.ilovepc.co.kr/record_detail_read.php?NO=15879같은 경로가 같이 찍혀 나와 지저분하다. 이것이 싫으면 파일 → 페이지 설정을 눌러 ‘머리글’과 ‘바닥글’에 있는 칸을 깨끗이 지운다음 인쇄하면 된다.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15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w&b페이지 &p / &P'라는 부분을 지우면 된다.
52. 키보드 없이 키보드를 친다?
윈도우즈 XP는 키보드가 없이 PC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화상 키보드’를 지녔다. 이것은 글자 그대로 키보드 모양을 화면에 띄워 마우스로 눌러 글자를 띄우거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내게 필요한 옵션 → 화상 키보드를 누르면 된다.
화상 키보드는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자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53. 플로피디스크 읽지 마!
부팅한 뒤나 탐색기를 띄웠을 때 윈도우즈는 무작정 A 드라이브인 플로피디스크를 읽는다. 이것은 하드웨어가 잘 달려 있는지를 윈도우즈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런 일을 없애도 윈도우즈를 쓰는 데 아무런 이상이 없으므로 윈도우즈가 하드웨어를 검색하는 명령을 고치자.
제어판을 띄워 ‘관리도구’를 열고 ‘서비스’ 아이콘을 골라 shell hardware detection 항목을 두 번 누른다.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맞추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서비스’ 창에서 shell hardware detection 항목을 골라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바꾼다. 이렇게 하면 플로피디스크를 읽지 않는다.
플로피 디스크를 자주 쓰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바꾸자.
54. 최대 절전 모드 해제로 하드디스크 용량을 확보하자
제어판의 ‘전원 옵션’ 가운데 최대 절전 모드를 쓰면 윈도우즈는 얼마 뒤 메모리에 담긴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적은 전기만 쓰면서 대기모드로 들어간다. 이 때 하드디스크 용량을 500MB 정도 차지한다.
대기모드를 쓰지 않는 이에게 이 옵션은 하드디스크 용량만 잡아먹는 쓸데없는 것이다. 바탕화면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을 눌러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을 띄운다. 화면보호기 항목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고 전원 옵션 등록정보를 보자. ‘최대 절전 모드’ 탭에서 체크 표시를 없앤다.
55. 응답이 없는 프로그램 빨리 닫기
윈도우 XP 응답이 없는 프로그램은 시간이 얼마 지나야 닫히게 된다. 기다린다고 응답 없는 프로그램이 다시 살아나는 것도 아니므로 이 시간을 무시하고 바로 끄자.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키를 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에서 HungAppTimeout를 왼쪽 마우스로 두 번 눌러 1000으로 고치면 된다.
56. 내가 쓰는 윈도우즈 XP가 정품일까?
윈도우즈 XP는 불법 복제를 쓰지 못하게 인터넷으로 정품 등록을 한다. 이것을 흔히 ‘인증을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인증을 받지 않고도 정품처럼 쓰는 불법 OS가 널리 퍼져 있다. 정품인데도 인증을 받지 않으면 적어도 30일 동안 작동한다. 과연 내가 쓰는 윈도우즈 XP는 인증을 받은 것일까?
시작 → 실행 → oobe/msoobe /a라고 치면 인증 창이 뜬다.
정상적인 OS이면 그림처럼 인증을 받았다는 메시지가 보인다.
57. MSN 메신저를 지우자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는 MSN 메신저를 지울 수 없다. 지우고 싶다면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메모장으로 c:\windows\servicepackfiles\sysoc.inf 파일을 연다.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hide,7이라고 되어 있는 줄을 찾은 뒤,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7로 바꿔주면 시작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구성요소 추가/제거에 MSN 메신저 체크박스가 뜬다. 이 박스를 끄면 MSN 메신저를 지울 수 있다.
MSN 메신저를 쓰지 않는다면 이 곳에서 지우면 된다.
58. L2 캐시 매만져 PC를 재빨리 돌리자
윈도우즈 XP는 CPU의 L2 캐시를 알아채 PC를 재빨리 돌린다. 하지만 데이터가 많아지거나 멀티태스킹을 할 때 캐시를 읽지 못해 순간적으로 느려질 때가 있다. 캐시를 고정시켜 운영체제가 일일이 캐시 메모리를 찾는 수고를 덜어주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Manager\Memory Management를 찾은 뒤 SecondLevelDataCache를 고른다.
그 다음 내 CPU에 맞는 캐시를 넣으면 된다.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를 누른 뒤 오른쪽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르면 내 CPU 정보가 뜬다.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15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10진수로 바꾼 뒤 캐시를 써 넣으면 된다.
59. 다이렉트 X의 최신 버전 깔기
시작 → 실행에서 dxdiag라 쳐 넣고 엔터를 치면 다이렉트 X 버전 뿐 아니라 갖가지 정보가 뜬다. 다이렉트 X가 8.1 이하가 깔려있다면 9.0을 새로 까는 것이 좋다. 게임속도가 재빨라지기 때문이다. 다이렉트 X 9.0을 내려받고 싶다면 시작 → windows update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이 뜨면 ‘업데이트 검색’을 누른 다음 중요 업데이트 및 서비스 → 업데이트 검토 및 설치를 눌러 ‘지금 설치’를 누르면 된다.
다이렉트 X 9.0이상이 깔려있는지 확인하자.
60.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전체 화면으로 보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전체 화면으로 시원시원하게 보는 방법이 있다.
인터넷 창을 띄우고 F11 키를 눌러도 되지만 항상 전체 화면으로 띄우려면 레지스트리를 매만져야 한다.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으로 간 다음 오른쪽 창에서 FullScreen을 찾는다.
FullScreen을 두 번 눌러 no를 yes로 바꾸면 된다.
------------------------------------------------------------------------
종료,재부팅 단축 아이콘 만들기(98,Me)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눌러 새로만들기->바로가기 를 선택하여 명령줄에 다음 문장을 입력합니다.(대.소문자 구별)
C:WINDOWSRUNDLL.EXE user.exe,exitwindows
C:/windows/rundll32.exe shell32.dll,SHExitWindowsEx n
여시서 "n"은 옵션입니다.
다음에 해당하는 숫자로 대체하시면됩니다.
0 : 로그오프
1 : 시스템종료
2 : 재부팅
4또는6 : 강제종료
XP 종료 아이콘 만드는 방법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눌러 새로만들기->바로가기 를 선택하여 명령줄에 다음 문장을 입력합니다.
%windir%System32shutdown.exe -s -t 01 라고 입력해 주세요. 저장하면 OK.
재부팅 숏컷값은 SHUTDOWN -r -t 01
셧다운 숏컷값은 SHUTDOWN -s -t 01
사용법: shutdown.exe [-l | -s | -r | -a] [-f] [-m 컴퓨터 이름] [-t xx] [-c "설명"] [-d up:xx:yy]
No args 이 메시지를 표시합니다.(-?와 동일)
-i GUI 인터페이스 표시합니다.(처음 옵션이어야 합니다.)로그오프합니다. (-m 옵션과 함께 사용될 수 없음)
-s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r 시스템을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합니다.
-a 시스템 종료를 중단합니다.
-m 컴퓨터 이름 원격 컴퓨터를 종료/다시 시작/중단합니다.
-t xx 시스템 종료의 만료 시간을 xx초로 설정합니다.
-c "설명" 시스템 종료 설명을 지정합니다. (최대 127 문자)
-f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경고 없이 강제로 종료합니다.
-d [u][p]:xx:yy 종료에 대한 이유코드를 지정합니다.
u: 사용자 코드
p: 계획된 종료 코드
xx: 주 이유 코드 (256 보다 작은 양수)
yy: 부 이유 코드 (65536 보다 작은 양수)
종료는 SHUTDOWN.exe -s -f -t 00, 재부팅은 SHUTDOWN.exe -r -f -t 00 로 입력해놨습니다.
윈도우즈 XP 예약 종료
시작 - 실행을 누르고 tsshutdn 3600 이라고 치면 1시간후에 종료됩니다.
명령어를 보자면
tsshutdn 는 윈도우즈 종료하는 명령어이고 기본은 60초로 되어있습니다.
1시간은 3600이니 3000이면 한시각후에 종료가 됩니다.
도스창이 뜨면서 실행이 되는데요 취소할려면 도스창을 선택하고 ctrl+c를 누르면 됩니다.
일일이 명령어 치기가 귀찮다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서 사용하면됩니다.
1.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새로만들기
2. 바로가기를 고른다.
3. 항목위치 입력에 tsshutdn 3600을 넣고 다음을 누른다.
4. 적당한 이름을 넣고 (예 : 1시간후종료) 마침을 누른다.
바탕화면에 1시간 종료예약하는 아이콘이 생깁니다.
시간을 변경하고 싶다면 오른쪽버튼을 눌러 초부분만 바꿔주면 됩니다.
익스플로러 단축키 삭제
레지스트리 에서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enuExt에서
하위 키가 익스플로러 오른쪽 마우스에 나오는 메뉴에 나타나는 단축메뉴 입니다
삭제하고 싶은 메뉴를 삭제 합니다.
오른쪽 클릭할 때 생기는 *단축 메뉴항목 삭제* 하기
시작 - 실행 - regedit 에서
H_C_R/*/Shellex/ContextMenuHandlers
H_C_R/Directory/Shellex/ContextMenuHandlers
H_C_R/Folder/Shellex/ContextMenuHandlers
이 세 곳의 하위 폴더들 중에서 원하시는 메뉴를 삭제하면 됩니다.
연결 프로그램을 잘못 지정했을때
시작-->실행-->Regedit-->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FileExts
이곳에서 지우면 됩니다.
팝업메뉴중 새로만들기목록 지우기
마우스 오른쪽키 누르면 `새로만들기`라는 메뉴가 나오는데,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하다 보면 엄청 많아지는데 속도가 아주 조금 느려집니다. 지우는 레지스트리입니다.
HKEY_CLASSES_ROOT 키에서 확장자를 찾으세요.
새로만들기 항목에서 확장자위치에서 ShellNew 찾으세요 --->
삭제를 해도 되고, 나중을 위해 shellmew등의 이름으로 바꿔줘도 됩니다.
예를 들어서 ACDSee 깔면 생기는 `ACDSee BMP Image`을 지운다면
[HKEY_CLASSES_ROOT.bmpShellNew] 안에 있는 `NullFile`을 지우던지 `NotNullFile`으로 윈도우가 인식 못하게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마우스 오른쪽 팝업 메뉴에 도스쉘(cmd) 등록
탐색기 등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경우에 나타나는 팝업 메뉴에 Shell 이라는 항목을 등록시켜 해당 폴더 위치에서 cmd 창을 띄워주는 방법입니다
1. 먼저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실행시킵니다.
윈도우키-R 을 눌러 실행창에 regedit 라 적습니다.
2. HKEY_CLASSES_ROOTFoldershell 로 찾아갑니다.
직접 찾아가기 힘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CTRL-F 를 눌러 `키`와 `문자열 단위로 일치`에 체크하시고 Folder 로 검색하시면 금방 찾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3. HKEY_CLASSES_ROOTFoldershell 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새로만들기-키 를 선택합니다.
4. 만들어진 키 값 이름을 cmd.open 으로 변경합니다.
5. 새로만든 cmd.open 을 선택하고 오른쪽 창을 볼까요? 기본 문자열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지정해주는 이름이 팝업 메뉴에 생겨나는 항목의 이름이 됩니다.
6. (기본값) 이라 적혀진 부분을 더블클릭하여 데이터값을 입력합니다.
전 Shell(&S) 이라는 이름을 줬습니다. (&S) 부분은 항목의 단축키를 지정해주는 것입니다.
7. 이제 왼쪽의 cmd.open 을 우클릭하여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command 라는 이름의 새 키를 만듭니다.
8. command 키를 클릭하고 오른쪽 기본 문자열 항목에 Shell 이라는 팝업메뉴를 선택했을시 동작할 부분을 넣어줍니다.
C:WINDOWSsystem32cmd.exe "%1" 라고 적어줍니다.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탐색기 폴더에서 우클릭을 하면 Shell 이라는 항목이 새로 생겨났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폴더가 안 지워진다면
해킹에 의한 폴더 생성이나 기타 에러 등으로 폴더 마지막에 공백 문자가 들어가면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럴 때 제가 쓰는 방법은 도스 프롬프트로 들어가서 dir /x를 줍니다. 이 명령은 긴 이름을 예전 도스처럼 8.3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그럼 그 지워지지 않는 폴더의 도스용 이름이 보입니다. 그걸 rmdir 명령으로 지워주면 됩니다.
fat인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RD, DEL 명령어로 지워진다네요. ntfs는 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시작 - 실행 - cmd 로 프롬프트 창을 엽니다.
형식 : RD .드라이브명:경로
예제 : RD .C:com1
만일 폴더에 공백이 포함된 경우는
형식 : RD ".드라이브명:경로 "
예제 : RD ".C:com1 "
마이크로소프트 기술백서에 있다네요. NTFS에서 공백이 있는 폴더는 아래 방식으로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럼 방법이 없느냐? 아닙니다.
먼저 Win2K ResourceKit에 있는 rm.exe 파일을 구해야 합니다.
http://bbs-webbbs.korea.com/plazahome/board15/art8195/attach/RM.EXE
그리구...Command Line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져...
posix /c rm.exe -r ". xxx "
위의 예제에서 posix 는 "국제표준유닉스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즉, rm 이라는 유닉스 명령어를 윈도우에서 사용하려 할때 사용하는 명령이죠...
그리고 /c 는 명령어를 선택하는 옵션이구...
rm.exe는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이구...(이 경우는 현재 디렉토리에 rm.exe가 있어야 겠져...)
-r 옵션은 폴더두 삭제하라는 옵션...
" . xxx " 는 파일명의 예제입니다. 여기다가 안지워 지는 파일명을 넣으면 됩니다. 이 파일명은 쩜(.)으로 시작하구...공백이 하나 있구...이름이 있구...그 뒤에도 공백이 있는 파일명입니다. 아주 나뿐넘이져...
참고 사이트: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EN-US;Q120716&ID=KB;EN-US;Q120716
하여간...일케 하면 지워집니다.
메신져 삭제법입니다
먼저 windows/inf/sysoc.inf 폴더를 메모장으로 연다 그다음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 hide 7-->이라인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7-->hide, 만 제거한후 저장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시작 제어판 프로그램 추가/제거->윈도우즈 구성요소 추가/제거에 msn 메신져 체크 옵션이 나타납니다 여기에 체크를 아웃하시면 삭제가 됩니다
아웃룩익스프레스 실행시 메신저 자동실행 끄기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Outlook Express
오른쪽 창에서 "Hide Messenger"라는 값을 더블클릭 후 기본 "1" 에서 "2" 로 바꿔주면 됩니다.
키값이 없으면 새로만들기 - DWORD 값..으로 생성 후 입력하세요.
10진수 16진수 상관없이 숫자 넣어주면 됩니다.
XP 내장 그래픽 뷰어 제거하기
1. [시작] 메뉴를 클릭하고 'cmd'를 입력한다.
2.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뜨게 되는데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egsvr32 /u shimgvw.dll
엔터키를 치면 "shimgvw.dll의 DllUnregisterServer 성공" 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3. 윈도우를 다시 시작한다.
원래대로 복구하려면 regsvr32 shimgvw.dll 라고 입력.
XP에 내장된 Zip압축 기능 제거하기
1. [시작]-[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명령 프롬프트]로 간다.
2.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regsvr32 /u zipfldr.dll" 를 입력한 다음 엔터키.
3. "zipfldr.dll의 DllUnregisterServer 성공" 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4. 컴퓨터 재부팅
그런 다음 WinZip이나 알집같은 압축유틸을 설치하면 XP에 내장된 Zip압축 기능을 완전히 제거한채 전문 압축유틸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만일 다시 되돌리고 싶다면 탐색기에서 아무 zip 파일이나 선택한 다음,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에서 [연결 프로그램]란 옆에 있는 [변경] 단추를 눌러주면 됩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9 제거하기
시작 - > 실행을 클릭하구요
RunDll32 advpack.dll,LaunchINFSection %SystemRoot%INFwmp.inf,Uninstall
을 입력하면 이전버젼으루 롤백이 됩니다
아이콘이나 폰트가 깨져서 나올 경우
아이콘이 깨질 경우
먼저 C:WINDOWSShellIconCache 파일을 삭제한다. 숨김으로 되어 있어서 폴더옵션의 보기 => 모든 파일 표시로 해서 삭제한다. 그런다음 안전모드로 부팅한 다음 재부팅 하면 된다.
폰트가 깨질 경우
먼저 C:WINDOWSttfCache 파일을 삭제한다. 숨김으로 되어 있어서 폴더옵션의 보기 => 모든 파일 표시로 해서 삭제한다. 그런다음 안전모드로 부팅한 다음 재부팅 하면 된다
1. 도스모드로 부팅이 된 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단, 이 경우는 윈도우가 C드라이브에 깔린 경우입니다.)
ttfcache 파일을 지우기 위해서는 파일의 속성을 해제한 후 삭제해야 합니다.
C:WINDOWS>attrib ttfcache -r -h -s
C:WINDOWS>del ttfcache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그냥 메모장에서 텍스트 파일을 하나 만드시구요. 아래 내용을 써 넣으세요.
[Shell]
Command=2
IconFile=explorer.exe,3
[Taskbar]
Command=ToggleDesktop
텍스트파일 이름을 "바탕 화면 보기.scf"로 바꾸세요. 이제 이 파일을 아래의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98에서
C:WINDOWSApplication 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2000/xp
c:documnet setting로그인 idApplication 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익스플로어의 다운로드 갯수 변경하는 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 후, 다음 키 값을 찾습니다.
2.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ternet Settings
3. 이 키 또는 오른쪽 창의 빈 공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등록]→[DWORD 값]을 선택합니다.
4. 새 DWORD 값의 이름에 'MaxConnectionsPerServer'라고 입력합니다.
5. 이 값을 더블클릭하고 값의 데이터 란에 원하는 다운로드 갯수를 입력합니다.
탐색기 폴더에 그림넣기
일단 메모장에.....
[ExtShellFolderViews]
{BE098140-A513-11D0-A3A4-00C04FD706EC}={BE098140-A513-11D0-A3A4-00C04FD706EC}
[{BE098140-A513-11D0-A3A4-00C04FD706EC}]
Attributes=1
IconArea_Image=예:ff1.jpg<---그림파일명
[.ShellClassInfo]
Confirm!FileOp=0
파일명을 꼬옥
desktop.ini <-----욜케 쓰시고 다른이름저장
저장 하시기전에 님의컴터에잇는그림파일명을 써주셔야 합니다
위 메모장에서 IconArea_Image=<---이거 다음에 .........
그런다음 그림과 함께.님이 넣고싶은 폴더에 복사해서 붙여넣으시면 끝.. 뒤로갔다가 다시들어가시면 탐색기안에 그림이 쫘악 뜸니다..
지우고 싶으면 desktop.ini<---요 파일만 삭제 하면 됩니다
이 메일 공유 하기-편지함 공유
윈도XP로 부팅해서 아웃룩을 실행한다 도구→옵션’을 선택 →‘유지 관리’ 항목→ ‘폴더 저장’를 선택한다.
윈도 XP의 경우 저장경로가 "My 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Local Settings"
또는 자기 계정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 것을 윈미의 메일 저장 장소를 변경해주면 된다
윈미의 메일 저장 경로는 C:WindowsApplication DataIdentities{570E317A-124A-473C-A555-072DCD958B2E}MicrosoftOutlook Express이다 위에 윈도2000의 폴더저장에서 경로는 윈미의 경로로 지정하면 된다
인터넷 임시파일 공유하기
익스에서 도구-인터넷 옵션-인터넷 임시파일-설정-폴더 이동에서 폴더의 윈미의 windows/Temporary Internet Files로 지징해 준다
내 문서 공유하기
내문서의 등록정보를 열면 [대상]→[대상폴더위치]→[이동]→[폴더찾아보기]찾아 보기로 윈미와 같은 폴더를 지정하면 됩니다
즐겨 찾기 공유하기
시작-실행-regedit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 /Windows/CurrentVersion/Explorer/User Shell Folders
Favorites 라는 키를 를 더블 클릭해서 윈미의 Favorites폴더 경로를 지정합니다
계정별 그림을 내 맘대로 바꾸는 방법
1. 먼저 원하는 그림을 결정하고,
2. 이미지의 크기를 48 x 48 pixel로 조절합니다.이때 이미지는 24 bit컬러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3. 이렇게 완성된 그림을 탐색기를 통하여 아래의 폴더에다가 복사합니다.
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Application DataMicrosoftUser Account PicturesDefault Pictures
4. 그런다음 시작버튼 > 제어판 > 사용자 계정> 계정변경 에서 그림을 변경할 계정을 선택하고 원하는 그림으로 바꾸면 됩니다.
** 참고로 위의 그림을 저장하는 폴더는 숨김 속성으로 되어있습니다...그러므로, 탐색기 > 도구 > 폴더옵션 > 보기 탭 > 숨김 파일 및 폴더에서 숨김 파일 및 폴더 보기에 체크 하시면 위의 폴더가 보일겁니다
폴더 안의 내용을 TXT 파일로 만들기
먼저 명령 프롬포트(도스창)을 연다.
그런다음 안의 내용을 TXT 파일로 만들려는 폴더로 이동한다.
그런다음 dir <옵션> ><원하는파일명>.txt 를 치면 폴더안의 내용이 TXT 파일로 된다.
옵션에 /b/on 넣으면 파일명만 이름순으로 정렬됨
NTFS 제거 방법.
1.도스부팅후 FDISK를 실행합니다.
2.분할영역 또는 논리 DOS 드라이브 삭제(Delete partition or Logical DOS Drive)를 선택합니다.
3. 비 DOS 분할영역 삭제(Delete Non-DOS Partition)를 선택하고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지웁니다.
4. 다시 FAT 32방식으로 파티션을 설정해 줍니다.
5. 재부팅 후 해당드라이브를 다시 포맷합니다
- XP 시디로 부팅을 해 복구콘솔에서 Format D: /fs:fat32 명령으로 하시던가, 아니면 설치과정 중 파티션 선택화면에서 파티션을 지우고(D) -> 생성하고(C) -> 포맷을 할 수 있구요.
명령 프롬프트에서 Format D: /fs:fat32 나 Format D: /fs:ntfs 명령으로 하면 될겁니다.그냥 Format D: 를 하면 현재의 시스템 형식 그대로 됩니다.
DOS에서 NTFS파일 읽고쓰기
1. 이미지파일을 받아서 빈 디스켓에 압축해제(ntfspro디스켓)
2. 일반 도스부팅디스켓으루 부팅
3. ntfspro디스켓을 넣고 ntfspro를 실행
4. 쭈~욱 뭔가 뜨다가 NTFS가 마운팅된 드라이브명이 나옴
(예를 들어 NTFS가 아닌 하드가 있으면 C로나오고 그외 씨디롬 D가 있으면 맨 마지막으로 지정된 문자(E)로 드라이브가 표시)
5. command.com어쩌구저쩌구 나오면 디스켓 바꿔서 a:command.com 쳐 주시구요(원래 도스부팅디스켓에 있으니까요)
6. A:프롬프트에서 E:엔터 하시면 윈도우(2000이나 XP)상의 C드라이브가 표시됨
Win XP를 DOS모드에서 깔기
1.부팅디스켓으로 부팅합니다. BIOS의 부팅순서가 A드라이브로 돼있어야 합니다
2.Smartdrv.exe 파일을 실행시킵니다. (example)A:>smartdrv.exe
(Smartdrv.exe 파일을 부팅디스켓에 복사합니다.C:Windows에 보면 smartdrv.exe 파일이 있는데,이 파일을 부팅디스켓에 복사합니다)
3.WinXP아래의 i386폴더에서 winnt.exe를(이게 바로 DOS용 Win XP설치 파일) 실행시킵니다.
1. cd로 구워 설치할 경우_(cd롬드라이브를 e로 가정)...
A:>e:
E:>cd i386
E:i386>winnt.exe
2. 하드에서 폴더로 설치할경우_(설치할 드라이브를 d로 가정,폴더이름을 Win XP로 가정)
A:>d:
D:>cd win xp
D:>cd i386
D:>winnt.exe
이제는 설치 마법사를 따라 설치 하면됩니다
정품인증 확인하는 방법
시작 -> 실행 -> oobe/msoobe /a
멀티부팅으로 설치된 XP를 지워보자.
윈도우 미에 멀티부팅으로 설치된 XP를 삭제하는 방법.
1. 윈도우미로 부팅해서 윈미용 부팅디스크를 만든다.
2. xp가 설치된 드라이브나 파티션을 포맷한다.
3. 1.에서 만든 부팅디스크를 넣고 부팅합니다
4. 부팅디스크 부팅메뉴중 2번이나 3번을 선택하고 부팅한다.
5. 도스 프롬프트가 뜨면 다음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fdisk /mbr
sys c:
6. 재부팅해보면 멀티부팅 없이 바로 윈도우미로 부팅이 될겁니다.
7. c:에 남아 있는
BOOTSECT.DOS
ntdetect.com
ntldr
boot.ini
화일들을 모두 지워줍니다.
WindowsXP 설치후 98, 2000 설치방법(XP 복구방법)
이 경우는 이미 XP가 설치되있으며 그 이후에 하위버젼을 설치해야하는 부득이한 경우에만 해당한다. 또한 실수로 XP가 설치된 상태에서 98이나 2000을 설치한 경우도 해당할 것이다. 이 경우가 아니라면 XP는 제일 나중에 설치하는게 좋다. 이럴때는 일딴 나중에 깔은 운영체제(2000 이나 98)로 부팅을 합니다. 그리고 나서 윈도XP 씨디를 넣고 새로설치를 선택합니다.
복구방법도 의외로 쉽다. 제일 먼저 확인할 사항은 XP의 사용자 계정이 어드민 권한이 있어야 하면 사용자 계정이름이 영문인것이 좋다.(영문 XP일경우 한글입력이 안되기 때문이다. 왠만하면 어드민 계정은 영문이름으로 할것을 권장한다.) 또한 어드민 암호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복구콘솔모드에서는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화면으로 진행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꼭 확인할 사항이다. 먼저 98이나 2000을 설치한다.(혹은 설치된 상태일것이다.) 그 뒤에 XP시디나 이미지, 이미지를 해제한 파일 그 어떤것이라도 좋다. 셋업을 하자. 윈도우에서 셋업을 해도 되고 XP시디로 부팅해서 셋업해도 되고 도스상에서 셋업을 해도 된다. 그러면 화면이 나오고...화일을 조금 하드에 카피한후에 도스모드로 들어갈껍니다. 도스모드에서 처음에 잠깐 검사가 끝나면 메뉴가 나오는데, 거기에 복구(repair)모드가 있습니다. 그걸 선택해주면 잠시 자동으로 스켄을 끝낸후에 각 파티션에 들어있는 운영체제의 Windows 디렉토리를 번호로 구분해서 보여줄껍니다.
그럼 거기에서 XP가 설치된 번호를 선택하면, 관리자 암호입력을 요구합니다.... 암호를 입력하면 C:windows 이런식으로 프롬프트가 뜰껍니다.... 거기서 help 라고 치면 사용가능한 메뉴들을 보여줄껍니다. 그중에 fixboot 가 보일껍니다..
프롬프트상에서 fixboot 를 치고 엔터를 치면 새로운 부트섹터를 쓸꺼냐고 물어봅니다. " Y " 를 누르고 엔터를 치면 새로운 부트섹터를 썼다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그럼 이제 exit 를 치고 엔터를 눌러서 재부팅 시킵니다...(씨디롬에 XP씨디는 빼십시요) 메뉴에서 XP 를 고르면 이제 XP로 부팅이 될껍니다...
XP로 부팅이 된 상태에서 이제 탐색기를 열어서 C: 로갑니다.. 만약 시스탬화일이나 숨김화일을 표시하지않게 해놓았다면 폴더옵션에서 그것들이 보이게끔 바꿔주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화일들을 보면 boot.ini 화일이 보일껍니다....근데 자세히보면 boot.bak 화일도 보일껍니다....boot.ini 화일을 잠시 다른디렉토리로 이동시켜놓은 다음에..boot.bak 화일을 boot.ini 로 확장자를 바꿔주십시요. 여기까지 따라하셨으면 이제 다 된것입니다...다시 부팅하면 XP 나 하위운영체제 모두 잘 부팅될껍니다....
남은일은...아까 XP씨디를 넣고 인스톨 당시에 하드에 조금 복사된 임시화일들만 지워주시면 깨끗하게 끝나는겁니다. C: 에 생기니까 디렉토리에 보면 금방 찾으실껍니다... 지우지않아도 뭐 상관은 없지만 지저분하니깐^^....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1.시작-실행-regedit 를 실행합니다.
2.다음 경로를 찾아갑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HungAppTimeout
다음 값이 기본적으로 5000(5초)으로 설정되어있을 것이다.
이 값을 더블 클릭해서 1000 (1000 = 1초)로 설정해줍니다.
XP에서 불필요한 파일 제거하기
설치하고 나면 특별한 일이 아니고서는 설치 시디를 다시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필요한 파일을 하드 디스크에 모두 복사해 두기 때문에(특히 파일크기가 큰 driver.cab) 시디 없이 사용이 가능 한 것 입니다.
따라서 이런 파일을 삭제해 주시면 그만큼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파일을 제거하고 나면 새로운 장치를 설치할 때 XP 설치 시디를 삽입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됩니다.
XP의 불필요한 파일 제거는 다음의 경로를 거쳐서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우선 C:WINDOWSsystem32DLLCACHE 의 경로로 가셔서 그 안의 파일을 모두 삭제해 주시면 약 360MB 정도의 용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C:WINDOWSDriver CacheI386 의 경로로 가셔서 안의 파일을 모두 삭제해 주시면 약 73MB 정도의 용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efatch폴더에 파일 저장하지 않는 방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PrefetchParameters로 갑니다.
EnablePrefetcher를 더블클릭해서 값을 0으로 해줍니다.
재부팅시에는 windowsprefetch에 파일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1은 응용프로그램 실행시 2는 부팅시 3은 언제나 사용가능하게끔 되어있습니다. 기본값은 3입니다. prefetch가 뭐냐면 윈도우의 부팅 커널까지 포함하여 모든 프로그램 실행시 실행되었던 기계어와 실행하는데 필요한 DLL파일들의 주소를 파일에 저장해 놓고 다음 번에 실행시 정보를 저장한 파일을 읽어 미리 미리 하드디스크에서 RAM으로 로딩하게끔 하는 기술인데 오히려 Windows XP가 부팅될 시에는 부팅이 느려지게 하는 주범이므로 끄게 하는 편이 낮다고 합니다.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때 `바로가기`라는 말이 나타나지 않게 하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오른쪽칸에 "새로만들기→이진값"으로 "link"라고 이름을 붙여줍니다. 그리고
이 값을 00 00 00 00으로 바꿔줍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의 화살표 없애는 방법!!
실행란에 regedit 입력하시고 엔터!
HKEY_CLASSES_ROOT - lnkfile(링크파일 즉 i 가 아니고 L 이겠죠?)
문자열 sShortCut를 선택하셔서 삭제.
내문서와 미플8.0에서 열어본 목록제거하기
시작-실행 -여기에 gpedit.msc 이렇케 입력하고 엔터 그러면 그룹정책이라고 창이 뜨는데 여기서 사용자구성-관리템플릿 -작업표시줄및시작메뉴 여기로가면 우측창에 설정이라는곳에 목록이 쫙뜨는데 거기서 최근에 열었던 문서목록보관않함에 우측마우스해서 속성으로가서 사용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뒤 빠져나와서 재부팅 해주면 앞으로 미플이나 각종 파일열어본 목록이 아무데도 남지 않으며 또다른 방법은 위에 방법을 사용않해야 작동하는데요. 그밑에 끝낼때 최근에 연 문서목록 지우기 요기에 우측마우스 속성에서 사용함에 체크하고 확인한뒤에 재부팅하면 미플본 기록이나 문서 열어본 기록이 남지않는다.
윈도우 미디어플레이어 목록 삭제하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MediaPlayerPlayerRecentURLList 에서
RecentFILEList 에 보시면 열어본 목록이 있습니다.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최근 실행 문서를 제거하자
1.열었던 문서가 나타나지 않게 하는 방법
a.시작-실행-regedit
b.[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c.레지스트리편집기의 오른쪽창에서 우클릭하여 `새로만들기-DWORD값`을 클릭
d.새 값의 이름을 NoRecentDocsHistory로 바꾸고 데이터를 0에서 1로 수정하면 됩니다.
2.저장된 열었던 문서가 윈도우 종료시에 삭제되게 하는 방법
a.위의 a,b,c와 같이 한 후
b.새 값의 이름을 ClearRecentDocsOnExit로 바꾸고 데이터를 0에서 1로 바꾸면 됩니다
시작 버튼에서 ‘문서’ 메뉴를 삭제해보자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를 차례로 찾아가도록 하자 오른쪽 창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다음 새로운 DWORD를 만들도록 하자. 이름은 ‘NoRecentDocsMenu’로 한다.
만들어진 ‘NoRecentDocsMenu’를 더블 클릭한 다음 16진수 값을 선택한 다음 1을 입력하면 된다.
윈도우 탐색기 기본 폴더 변경
탐색기의 [등록 정보]를 선택합니다.
[바로 가기]탭의 [대상] 항목에 "%SystemRoot%explorer.exe"로 설정 되어 있는 것을 "%SystemRoot%explorer.exe /e,c:"으로 변경합니다.
<옵션>
/n=새로운 탐색기창이 열림
/e=하위 폴더 확장해서 열림
/root=지정 폴더를 최상위치로
/select=기본폴더의 루트폴더표시
Command prompt에서의 복사와 붙여넣기
익스플로러나 다른 텍스트 에디터에서 복사하고 싶은 부분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복사'합니다. 명령 프롬프트창을 띄우시고 붙여넣기 할 명령줄에 가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릅니다.
명령프롬프트 창안에서의 복사와 붙여넣기도 가능합니다.
복사하고 싶은 줄이나 단어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채로 선택(드래그)만 하고선 다시 붙여넣기 할 위치에가서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IP주소를 관리하는ipconfig
윈도우 98에서는 'winipcfg'라는 유틸리티로 자기의 IP 주소 상태를 보거나 새로 바꿀 수 있었습니다. 윈도우 2000은 이런 윈도우용 유틸리티 대신 도스 명령어인 'ipconfig’로 IP 주소를 관리합니다. 기본적인 자기의 네트워크 구성 상태는 'ipconfig'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을 때에는 'ipconfig/all' 명령어를 이용한다. 케이블 모뎀이나 ADSL과 같이 DHCP를 이용해 IP를 할당 받는 초고속 통신을 이용한다면 'ipconfig/release'와 'ipconfig/renew' 명령어로 IP 주소와 관련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윈2000,XP 경우 : cmd /k ipconfig
윈98,me의 경우 : command /k ipconfig , winipcfg
자동 복구
여러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다보면 윈도우의 *.dll같은 라이브러리가 바뀌게 되는데 이럴 때는 자동복구 기능으로 2000의 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방법 : Command Prompt에서 'sfc /scannow'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시스템 파일들을 체크하여 복원시킵니다
Hosts파일 다루기
1. win xp의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disdnetc (win 9x는 C:windows)에 보시면 hosts란 이름의 파일이 있습니다. (확장자는 없읍니다. hosts.sam 파일과는 다른 것이니 혼동하지 마세요.)
2. 이 파일을 선택하고 오른 클릭해서 notepad등으로 엽니다.
3. 여기에 다음과 같이 붙여 넣고 저장합니다.
127.0.0.1 www.ieasysoft.com
127.0.0.1과 www.ieasysoft.com 사이에 반드시 한칸 띄워 주세요.
이외에도 귀찮은 ad server가 있을시 이와 같이 127.0.0.1 다음에 그 주소를 넣어주면 접속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